본문 바로가기

컴퓨터,하드웨어

4K 영상을 보려면 그래픽카드는!


그래픽카드 새로 설치하다 보면서 이래저래 많이 알게 되는 부분이 있는데 rx570은 영상 재생 측면에서 어떤지 생각해 보게 되더라고요.

 

주로 게임을 하더라도 고사양 게임은 안 하고 유튜브 4k 영상을 즐겨보는 편이고 AMD 그래픽 카드가 vp9 하드웨어 가속을 안 해서 크롬에서 유튜브 4k 영상을 볼 때 원활하지 않다고 하더라고요.

 

이런 문제가 아직까지 존재하는지에 궁금해지기도 하는데 몇 년 전에 쓰여진 글들 이래저래 읽어봐도 관련된 정보를 얻어 볼 수 있는 부분도 있고 부족하게 생각되는 부분도있어서 지금 시점에서 같은 상황에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또한 rx570은 vp9 가속을 지원한다는 가정하에 현재 CPU가 라이젠 1400을 사용 중인데 CPU로 유튜브 4k 영상을 돌리면 CPU 점유율이 높아서 멀티태스킹 능력이 떨어질지도 궁금할 겁니다.

 

여전히 vp9 미지원으로 유튜브가 지원은 안 된다고 하는데 게임을 안 하면 그냥 사용하든지 엔비디아 낮은등급 제품으로 가고 고비트트레이 영상은 원활하게 재생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다른 방법으로 2200이나 2400 제품같은 내장형 CPU로 교체 할 경우 같은 아키텍처를 썼지만 vp9를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지원합니다. 580 사용중이라면 크롬에서 영상 감상할 때 그래픽은 놀고 있는데 CPU로 8k 30프레임까지 지장없이 감상 가능하고 60프레임을 잠깐씩 끊김이 있을 겁니다.

 

물론 팟플로 감상하면 크게 상관 없을 없지요.

더 찾아보면 크롬에서 유튜브를 시청 할 때마다 개 지원 못 한다고 하던데 마이크로엣지 브라우저로 유튜브 감상하면 큰 문제가 없다고 하고 4K 영상을 받아서 보는 경우 rx580이 성능을 발휘 하나 보더라구요.

 

vp9 지원을 안 해도 4k 영상 지원을 안 하는게 아니라 지원을 하면은 작업 관리자에서 성능 탭에서 GPU 로드율 5% 줄여 많은데 vp9 가속 지원을 하지 않으면 GPU 로드율 24k에 경우 정확하진 모르지만 50% 넘기지 않을 가축의 본다고 합니다.

 

 

말그대로 GPU 로드율하고 상관이 있다는 거지요.

유튜브영상을 보고 나 받을 때만 문제가 있고 유튜브에서 주력으로 밀고 있는 vp9가 제대로 지원이 안 되면 영상 같은 거 할때는 별 상관없지만 그것도 h.264나 h.265로 인코더 인코딩 되니깐요.

 

유튜브 4k 화질은 라데온 카드는 별로라는 이유도 이야기도 있고 일반 화질은 상관없고 유튜브가 아닌 일반 동영상감상용 일하면 플루이드모션 지원되는 rx570이 좋다고 합니다.

 

 

고화질 영상이 아니라면 rx570 지포스 계열에서 계열보다는 좋다고 하니 참고해 볼만한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다른 이야기로 rx570이 vp9를 지원한다는게 현재 GPU가 라이젠 5 사용 중인데 CPU 유튜브4k영상 돌리면 CPU 점유율이 높아서 멀티태스킹 능력이 떨어질 죄에 대해서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있는데 현재 사용중인 GPU가 gtx570이면 옛날 GPU 로드율 오더 4K 무리없이 돌아가는데 rx570 지원이 안 된다고 하니 아이러니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면 이런 세세한 것까지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무엇보다도 사용하는 용도만 생각해 본다면 크게 고민을 볼 것까지는 없을 거라고 생각되네요. 고화질 영상을 많이 본다면은 선택의 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용도를 생각해 보는 거지요.